ANDROID STUDIO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공부 할때는 화면을 HTML로 구성하고,

버튼의 기능 등등을 자바로 따로 코딩을 해서 구성을 했었는데, 아밥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 같다.

다만 그 개념에 대해 깊이 있게 책을 읽어본다던지 한 것은 아니지만, 약간 개념이 다른것 같아 혼동되는 점이 있어 그 부분을 확실하게 공부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아밥의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구분을 적어줘야 적절하게 화면에 실행 되므로 꼭 적어주는게 좋다.

(INITIOALIZATION과 START OF SELECTION을 적지 않고 적으니 구분이 안되서 그런지 화면이 안떴다 ㅋ)

1. 스크린을 생성하지 않은 화면 구성법

1-1. 데이터 선언

1-2. INITIALIZATION

 화면 실행 전에 미리 한번만 띄워 놓는 부분인것 같다.

SELECT OPTIONS 등에 미리 값을 넣어둔다던지,

화면을 띄울 때 필드명을 띄우는것 처럼 미리 지정을 해둔다던지 하는 방식인것같다.

1-3. AT SELECTION SCREEN OUTPUT

SELECTION SCREEN으로 지정된 값들이 특정 행위를 통해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인것 같다.

1-4. START-OF-SELECTION

SELECTION SCREEN부분 등등에서 값을 할당하고 화면에 띄워주는 부분을 어떻게 띄워 줄 것인이 SELECT해서 값을 넣는 부분. 

이 부분에 스테이터스 값으로 버튼을 구성하여 화면이 뜬 후 버튼을 넣어 둘 수 있다. 이 버튼은 END-OF-SELECTION에서 실행을 설정 할 수 있다.

1-5. END-OF-SELECTION

보통은 안적어줘도 SELECT 한 후 끝에 WRITE등등으로 뿌려주기만 하면 뜨긴 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USER-COMMAND를 이용하여 화면이 뜬 후 생성할 버튼의 기능을 설정 할 수 있다.

2. 모듈풀 화면 구성

PBO, PAI

간단히 생각하면 스크린(여기서는 100번)을 띄우기 전은 PBO, 스크린 띄운 후는 PAI인듯 한데 실습을 심화하다보면 약간 헷갈릴 때가 있다. 일단 그렇게 생각하고 학습을 진행하는게 좋을것같다.

실행

모듈풀은 스크린을 띄우려면 꼭 트랜잭션코드를 생성해서 띄워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았더니 그냥 실행하면 화면이 뜨지 않는다.

2-1. PBO

기본적으로는 스크린 띄우기 전 버튼과 제목을 생성한다.

2-2. PAI

기본적으로는 스크린을 띄운 후 버튼의 기능을 구성함.

스크린 띄운 후 버튼을 누를 경우 정보가 뜨는 행위를 이와같이 SELECT하여 나타 낼 수 있다.

+ Recent posts